티스토리 뷰
4개의 주사위를 굴렸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나누는 문제이다.
아래 5가지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.
- 4개 모두 같은 값일 경우
- 3개가 같은 값일 경우
- 2개 2개씩 같은 값일 경우
- 2개만 같은 값일 경우
- 모두 다른 값일 경우
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찾은 List 풀이방법..
내가 작성한 코드
import java.util.*;
public static int solution(int a, int b, int c, int d) {
List<Integer> list = new ArrayList<>();
int answer = 0;
int firstVal = 0; // 첫 번째 중복 값
int secondVal = 0; // 두 번째 중복 값
int[] arr = new int [4];
arr[0] = a;
arr[1] = b;
arr[2] = c;
arr[3] = d;
for (int i = 0; i < arr.length; i++) {
if (list.contains(arr[i])) {
if (firstVal == 0) {
firstVal = arr[i];
}
else {
secondVal = arr[i];
}
}
else {
list.add(arr[i]);
}
}
if (list.size() == 1) { // 모두 같음
answer = list.get(0) * 1111;
}
else if (list.size() == 2) { // aaab or aabb
if (firstVal == secondVal) { // 3개 같음(aaab)
list.remove(Integer.valueOf(firstVal));
answer = (int) Math.pow(10 * firstVal + list.get(0), 2);
}
else { // 2쌍 같음(aabb)
answer = (list.get(0)+list.get(1)) * Math.abs(list.get(0)-list.get(1));
}
}
else if (list.size() == 3) { // 2개 같음(aabc)
list.remove(Integer.valueOf(firstVal));
answer = list.get(0) * list.get(1);
}
else { // 모두 다름
answer = Collections.min(list);
}
return answer;
}
a, b, c, d를 list에 넣을 건데, 이미 list에 있는 값이라면 중복 발생으로 간주하고, firstVal에 저장한다.
두 번째 중복 발생 (예를들어, 1, 1 저장 후 1이 발생 || 1, 1 저장 후 2, 2가 발생) 한 경우
secondVal에 두 번째 중복값을 저장한다.
이후, 중복이 두 번 발생하는 경우 (1,1,1 || 1,1,2,2) 를 구분하기 위해 firstVal과 secondVal를 비교한다.
firstVal 과 secondVal이 같은 값이라면, 1,1,1,n 과 같은 3개 중복 주사위일 것이다.
이런식으로 풀이해나갔다.
이후 프로그래머스에서 모범 답안을 보고 놀랐다.
모범 답안
import java.util.Arrays;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a, int b, int c, int d) {
int[] dice = { a, b, c, d };
Arrays.sort(dice);
int ans = 0;
if (dice[0] == dice[3]) {
ans = 1111 * dice[3];
} else if (dice[0] == dice[2] || dice[1] == dice[3]) {
ans = (int) Math.pow(dice[1] * 10 + (dice[0] + dice[3] - dice[1]), 2);
} else if (dice[0] == dice[1] && dice[2] == dice[3]) {
ans = (dice[0] + dice[3]) * (dice[3] - dice[0]);
} else if (dice[0] == dice[1]) {
ans = dice[2] * dice[3];
} else if (dice[1] == dice[2]) {
ans = dice[0] * dice[3];
} else if (dice[2] == dice[3]) {
ans = dice[0] * dice[1];
} else {
ans = dice[0];
}
return ans;
}
}
정렬을 써서 이렇게 깔끔하게 작성하다니...
한 수 배워간다.
'코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1100] 하얀 칸 JAVA (1) | 2024.11.27 |
---|---|
[백준 1008] A/B JAVA - BigDecimal 사용 (2) | 2024.11.18 |
[백준 11866] 요세푸스 문제 0 JAVA - 원형 Queue 사용 (1) | 2024.11.12 |
[백준 10988]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(0) | 2024.11.11 |
[백준 1157] 단어 공부 JAVA - LinkedHashSet, HashMap 사용 (2) | 2024.11.09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docker컨테이너
- docker
- 그리드
- 트리
- 클라우드
- MySQL
- google cloud run
- 오블완
- tomcat
- 알고리즘
- SpringBoot
- 백준
- docker배포
- websquare
- 노드
- 백준자바
- Spring
- 자바
- 이클립스
- Apache
- Java
- docker앱배포
- BigDecimal
- 톰캣
- 백준알고리즘
- db
- 웹스퀘어
- 티스토리챌린지
- controller
- dockerspring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